맨위로가기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벨칼레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8년 창설되었으며, "카구(Cagous)"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2004년 FIFA에 가입했으며, 퍼시픽 게임에서 7번 우승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OFC 네이션스컵에서는 2번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멜라네시아컵에서도 4번 준우승을 기록했다. 타히티와의 라이벌 관계가 존재하며, 2022년부터 Givova가 유니폼을 제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은 통가를 대표하며, 1993년 폴리네시아컵 우승이 최고 성과이나, 2019년 이후 경기 미개최로 FIFA 랭킹에서 제외되었고,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 오세아니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사모아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사모아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며, FIFA 월드컵 예선과 OFC 네이션스컵, 퍼시픽 게임 등에 참가했으나 뚜렷한 성적은 없다.
  • OFC에 관한 -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은 통가를 대표하며, 1993년 폴리네시아컵 우승이 최고 성과이나, 2019년 이후 경기 미개최로 FIFA 랭킹에서 제외되었고,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 OFC에 관한 -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은 2004년 뉴질랜드 내셔널 사커 리그를 대체하여 창설된 뉴질랜드 축구 클럽 대회로,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로 진행되었으며, 참가팀 수와 경기 방식의 변화, 리그 명칭 변경을 거쳐 2021년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로 대체되기 전까지 운영되었다.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
구글 지도
기본 정보
정식 명칭뉴칼레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별칭레 카구 (Les Cagous, 카구들)
협회뉴칼레도니아 축구 연맹
연맹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감독요한 시다네르
주장세자르 제울라
최다 출장 선수베르트랑 카이, 세자르 제울라 (43회)
최다 득점 선수베르트랑 카이 (23골)
홈 경기장스타드 누마-달리 마젠타
FIFA 코드NCL
FIFA 최고 랭킹93위
FIFA 최고 랭킹 기록일2013년 8월
FIFA 최저 랭킹191위
FIFA 최저 랭킹 기록일2016년 4월 ~ 5월
Elo 최고 랭킹56위
Elo 최고 랭킹 기록일1971년 9월 5일
Elo 최저 랭킹175위
Elo 최저 랭킹 기록일2002년 7월
첫 국제 경기뉴칼레도니아 2–0 뉴질랜드 (누메아, 뉴칼레도니아; 1951년 9월 19일)
최대 점수차 승리뉴칼레도니아 18–0 (라에, 파푸아뉴기니; 1991년 9월 3일)
미크로네시아 연방 0–18 뉴칼레도니아 (수바, 피지; 2003년 7월 1일)
최대 점수차 패배오스트레일리아 11–0 뉴칼레도니아 (오클랜드, 뉴질랜드; 2002년 7월 8일)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6회
첫 출전1973년
최고 성적준우승 (2008년, 2012년)
해외 영토컵 (Coupe de l'Outre-Mer)
출전 횟수3회
첫 출전2008년
최고 성적7위 (2012년)
선수 유니폼
홈 유니폼pattern_la1: _greyborder
pattern_b1: _ncl22h
pattern_ra1: _greyborder
pattern_sh1:
pattern_so1:
leftarm1: FFFFFF
body1: FFFFFF
rightarm1: FFFFFF
shorts1: FFFFFF
socks1: FFFFFF
원정 유니폼pattern_la2:
pattern_b2: _ncl22a
pattern_ra2:
pattern_sh2:
pattern_so2:
leftarm2: 7F7F7F
body2: 7F7F7F
rightarm2: 7F7F7F
shorts2: 7F7F7F
socks2: 7F7F7F
세 번째 유니폼pattern_la3:
pattern_b3: _ncl22t
pattern_ra3:
pattern_sh3:
pattern_so3:
leftarm3: 000000
body3: 000000
rightarm3: 000000
shorts3: 000000
socks3: 000000

2. 역사

뉴칼레도니아 축구 협회는 1928년에 설립되었지만,[2] 오랫동안 국제축구연맹(FIFA)이나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 가입하지 못했다. 2004년에 FIFA의 205번째 회원국으로 정식 가입했다.[2]

FIFA 및 OFC 가입 이전에는 프랑스 축구 연맹과의 관계 때문에 주로 친선 경기나 퍼시픽 게임(태평양 게임)과 같은 지역 대회, OFC 네이션스컵에 초청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카구(Cagous)"라는 별명을 가진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퍼시픽 게임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고, OFC 네이션스컵 초창기 두 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4년 OFC 네이션스컵 진출 실패 후,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디디에 샹바롱을 새 감독으로 영입했다. 아피아에서 열린 2007년 퍼시픽 게임에서 카구(Cagous)는 A조에 속해 라이벌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을 1-0으로 꺾었다. 이 경기는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첫 경기였다. 이후 투발루 축구 국가대표팀쿡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을 각각 1-0과 3-0으로 이겼다.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는 피지 축구 국가대표팀과 1-1로 비겼다.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조 2위로 솔로몬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을 3-2로 꺾고 결승에서 피지 축구 국가대표팀을 1-0으로 이겨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1라운드를 겸한 퍼시픽 게임 축구 종목을 통과하여 2라운드에 진출했지만,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밀려 1위를 차지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피지 축구 국가대표팀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을 제치고 2위를 기록했다.

2011년 5월,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누메아에서 레위니옹 축구 국가대표팀과 두 차례 친선 경기를 가졌으나 모두 패했다. 그러나 몇 달 후 열린 2011년 퍼시픽 게임에서는 솔로몬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을 2-0으로 꺾고 우승했다. 타히티와의 경기에서는 3-1로 승리했다.

2012년 6월 OFC 네이션스컵에서 카구(Cagous)는 준결승에서 베르트랑 카이와 조르주 고페-페네페주의 골에 힘입어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을 2-0으로 꺾었지만, 결승전에서 타히티에 1-0으로 패했다. 그러나 이 대회는 2014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을 겸했기 때문에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타히티와 준결승 진출팀인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솔로몬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2. 1. FIFA 및 OFC 가입 이전 (1928년 ~ 2004년)

뉴칼레도니아 축구 협회는 1928년에 설립되었지만,[2] 오랫동안 국제축구연맹(FIFA)이나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 가입하지 못했다. 2004년에 FIFA의 205번째 회원국으로 정식 가입했다.[2]

FIFA 및 OFC 가입 이전에는 프랑스 축구 연맹과의 관계 때문에 주로 친선 경기나 퍼시픽 게임(태평양 게임)과 같은 지역 대회, OFC 네이션스컵에 초청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카구(Cagous)"라는 별명을 가진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퍼시픽 게임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고, OFC 네이션스컵 초창기 두 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4년 OFC 네이션스컵 진출 실패 후,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디디에 샹바롱을 새 감독으로 영입했다. 2007년 퍼시픽 게임에서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을 1-0으로 꺾는 등 좋은 경기를 펼처 피지 축구 국가대표팀을 결승에서 1-0으로 이기고 우승하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1라운드를 겸한 퍼시픽 게임 축구 종목을 통과하여 2라운드에 진출했지만,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밀려 1위를 차지하지는 못했다.

2011년 5월,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레위니옹 축구 국가대표팀과 두 차례 친선 경기를 가졌으나 모두 패했다. 그러나 몇 달 후 열린 2011년 퍼시픽 게임에서는 솔로몬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을 2-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12년 6월 OFC 네이션스컵 준결승에서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을 2-0으로 꺾었지만, 결승전에서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에 1-0으로 패했다. 그러나 이 대회는 2014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을 겸했기 때문에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2. 2. FIFA 및 OFC 가입 이후 (2004년 ~ 현재)

누벨칼레도니 축구 협회는 1928년에 설립되었지만, 2004년까지 국제축구연맹(FIFA)이나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 가입하지 않았다.[2] 2004년에 FIFA의 205번째 회원국이 되었다.[2]

FIFA 및 OFC 가입 이전까지 누벨칼레도니 대표팀은 현지 기관들이 프랑스 축구 연맹과의 관계 때문에 친선 경기나 퍼시픽 게임과 같은 지역 대회, OFC 네이션스컵에 초청팀 자격으로만 참가할 수 있었다. "카구(Cagous)"라는 별명을 가진 누벨칼레도니 대표팀은 퍼시픽 게임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고, OFC 네이션스컵 초창기 두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2004년 OFC 네이션스컵 진출 실패 후, 누벨칼레도니 축구 협회는 디디에 샹바롱을 새 감독으로 영입했다. 2007년 퍼시픽 게임에서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을 1-0으로 꺾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1라운드를 겸했기 때문에 누벨칼레도니는 2라운드에 진출했지만,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밀려 최종 예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2011년 5월, 누벨칼레도니 대표팀은 레위니옹 축구 국가대표팀과 두 차례 친선 경기를 가졌으나 모두 패했다. 그러나 몇 달 후 열린 2011년 퍼시픽 게임에서는 솔로몬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OFC 네이션스컵 준결승에서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을 2-0으로 꺾었지만, 결승전에서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에 1-0으로 패했다. 그러나 이 대회는 2014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을 겸했기 때문에 누벨칼레도니는 타히티, 뉴질랜드, 솔로몬 제도와 함께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3. 1. FIFA 월드컵

누벨칼레도니는 아직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2010년, 2014년, 2018년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서 3회 연속 최종 예선에 진출하여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0년비회원국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예선 탈락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합계



월드컵 예선 통산 38경기에서 18승 8무 12패, 89득점 46실점을 기록하고 있으며,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는 오세아니아 4위, 전체 107위이다.

3. 2. OFC 네이션스컵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OFC 네이션스컵 본선에 6번 출전했다. 2008년2012년 대회에서 2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2년 대회를 제외한 나머지 5번의 대회에서 모두 4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1973년과 1980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개최년도결과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
19733위5302106
19803위43011412
2002조별리그 탈락3003114
2008준우승62221210
2012준우승5302197
20164강412193
합계6/1027124116552


3. 3. 퍼시픽 게임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퍼시픽 게임에 15번 출전하여 금메달 7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면서 이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63년 대회를 시작으로 2023년 대회까지 총 7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1963년, 1969년, 1971년 대회에서 3회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2015년 대회는 뉴칼레도니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이 출전했다.

남태평양 경기 대회 축구 기록
년도개최지라운드*
1963우승2200103
1966준우승4301172
1969우승5410203
1971우승4310122
1975준우승5401164
19794위5302268
19833위64021611
1987우승6501264
19913위5302138
1995조별리그4202193
2003준우승6411293
2007우승6510103
2011우승7601363
2015뉴칼레도니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 참조
2019준우승6501232
2023우승4310182
합계8회 우승695251326859


3. 4. 멜라네시아 컵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멜라네시아컵에서 준우승만 4번 차지했다. 1989년 대회에서 4경기 3승 1패로 준우승을, 1990년 대회에서 4경기 2승 1무 1패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대회에서는 3경기 2승 1무로 결승에 진출,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3년 대회에서도 3경기 2승 1패의 성적으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MSG 총리컵 기록
년도개최국순위경기 수 (Pld)승 (W)무 (D)패 (L)득점 (GF)실점 (GA)
1988년솔로몬 제도4위410365
1989년피지준우승430195
1990년바누아투준우승421153
1992년바누아투준우승321042
1994년솔로몬 제도4위410359
1998년바누아투5위4004410
2000년피지4위42021111
2022년바누아투6위200202
2023년뉴칼레도니아준우승320172
합계준우승32132175149


4. 선수

2026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솔로몬 제도 및 피지와의 경기를 위해 2024년 11월 14일과 17일에 각각 다음 23명의 선수가 소집되었다.[6]

'''2024년 10월 10일 파푸아뉴기니와의 경기 후 기준으로 정정된 출전 기록 및 득점 기록이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장 수득점 수현재 소속팀
GKMickaël Ulile미카엘 윌릴레/Mickaël Ulile프랑스어1997년 7월 16일140Magenta
GKThomas Schmidt토마스 슈미트/Thomas Schmidt프랑스어1996년 6월 4일50Tiga Sport
GKWareen Hlupa와렌 흘루파/Wareen Hlupa프랑스어2004년 4월 16일10Decize
DFJoseph Athale조제프 아탈/Joseph Athale프랑스어1995년 7월 11일151Olympique Saint-Quentin
DFFonzy Ranchain폰지 랑섕/Fonzy Ranchain프랑스어1994년 7월 22일80Gaïca
DFCameron Wadenges캐머런 와덴지스/Cameron Wadenges프랑스어2000년 8월 5일10Racing Besançon
DFAlexandre Deplanque알렉상드르 드플랑크/Alexandre Deplanque프랑스어2001년 1월 2일10Vendée Fontenay
DFDjibril Tufele지브릴 투펠레/Djibril Tufele프랑스어2003년 1월 25일20Lössi
DFFlorian Gope플로리앙 고프/Florian Gope프랑스어2004년 3월 25일00Magenta
MFCésar Zeoula세자르 제울라/César Zeoula프랑스어1989년 8월 29일4113Chauvigny
MFShene Wélépane셰네 웰레판/Shene Wélépane프랑스어1997년 12월 9일186Tiga Sport
MFMorgan Mathelon모건 마텔롱/Morgan Mathelon프랑스어1991년 9월 12일120Tiga Sport
MFDidier Simane디디에 시만/Didier Simane프랑스어1996년 8월 3일50ASPTT Dijon
MFMickaël Partodikromo미카엘 파르토디크로모/Mickaël Partodikromo프랑스어1996년 2월 2일10Saint-Sébastien
MFJekob Jeno제콥 제노/Jekob Jeno프랑스어2000년 6월 22일20Beitar Jerusalem
MFPierre Bako피에르 바코/Pierre Bako프랑스어2001년 8월 9일10Vertou
MFYoan Béaruné요안 베아뤼네/Yoan Béaruné프랑스어2002년 3월 22일00Horizon Patho
FWGeorges Gope-Fenepej조르주 고프페네페주/Georges Gope-Fenepej프랑스어1988년 10월 23일2216Saint-Pryvé Saint-Hilaire
FWJean-Jacques Katrawa장자크 카트라와/Jean-Jacques Katrawa프랑스어1999년 8월 2일83Sud FC
FWGérard Waia제라르 와이아/Gérard Waia프랑스어2004년 12월 22일51Tiga Sport
FWGermain Haewegene제르맹 아에웨게네/Germain Haewegene프랑스어1996년 7월 13일31Magenta
FWTitouan Richard티투앙 리샤르/Titouan Richard프랑스어2000년 12월 4일30Olympique Salaise Rhodia
FWBryan Ausu브라이언 아우수/Bryan Ausu프랑스어1997년 11월 25일10Sud FC



지난 12개월 동안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장 수득점 수현재 소속팀최근 차출
GKRocky Nyikeine로키 니케인/Rocky Nyikeine프랑스어1992년 5월 26일290Gaïca파푸아뉴기니전, 2024년 10월 10일
DFGabriel Vakoume가브리엘 바쿰/Gabriel Vakoume프랑스어1989년 2월 9일30Kunié2023 태평양 게임
DFWilliam Rokaud윌리엄 로카드/William Rokaud프랑스어2001년 10월 3일31Magenta2023 태평양 게임
DFVincent Vakié뱅상 바키에/Vincent Vakié프랑스어1990년 10월 20일40Kunié2023 태평양 게임
DFMartin Makam마틴 마캄/Martin Makam프랑스어2001년 9월 15일20Magenta2023 태평양 게임
DFJosué Wélépane조슈에 웰레판/Josué Wélépane프랑스어2000년 4월 19일10Tiga Sport2023 태평양 게임
DFGianni Manmieu지아니 망미외/Gianni Manmieu프랑스어1994년 8월 3일20Kunié2023 태평양 게임
MFJoris Kenon조리스 케논/Joris Kenon프랑스어1998년 1월 29일40US SPDGL파푸아뉴기니전, 2024년 10월 10일
MFJules Omei쥘 오메/Jules Omei프랑스어2001년 7월 14일60Mont-Dore파푸아뉴기니전, 2024년 10월 10일
MFIlhan Iekawe일란 이에카우/Ilhan Iekawe프랑스어2002년 7월 28일00Tiga Sport파푸아뉴기니전, 2024년 10월 10일
MFWilliam Read윌리엄 리드/William Read프랑스어2003년 1월 11일31Lössi2023 태평양 게임
MFRitchi Iwa리치 이와/Ritchi Iwa프랑스어1999년 8월 31일30Païta2023 태평양 게임
MFMakalu Xowi마칼루 쇼위/Makalu Xowi프랑스어1999년 4월 20일43Central Sport2023 태평양 게임
MFRobert Neoere로베르트 네오에레/Robert Neoere프랑스어1996년 4월 18일30Kunié2023 태평양 게임
FWLues Waya뤼에스 와야/Lues Waya프랑스어2001년 8월 1일57Vertou2023 태평양 게임


4. 1. 주요 선수

'''굵은'''체로 표시된 선수는 누벨칼레도니에서 여전히 활동 중이다.[7]

순위선수명출전수득점활동 기간
1베르트랑 카이43232008–2022
세자르 제울라43132008–현재
3에밀 베아뤼네4202010–2022
4조엘 와카누무네3912011–2022
피에르 와조카39132003–2011
6이아멜 카베우34202002–2013
7로이 카야라3182008–2019
8로키 니케인2902011–현재
9미셸 마에28222003–2011
10앙드레 시네도2712002–2011



순위선수명득점출전경기당 득점활동 기간
1베르트랑 카이23430.532008년–2022년
2미셸 마에22280.792003년–2011년
3이아멜 카베우20340.592002년–2013년
4조르주 고페-페네페주16240.672011년–현재
5피에르 와조카13390.332003년–2011년
세자르 제울라13430.32008년–현재
7장-필립 사이코12101.22016년–2022년
8조리스 피브케1152.22000년–2002년
9폴 포아틴다101012003년–2004년
10자크 아에코9130.692011년–2012년


  • 웨슬리 로토아 2008-

4. 2. 역대 감독

가이 엘무어(Guy Elmour) (1971–1973)

쥘 므네(Jules Hmeune) (1977)

루디 구텐도르프 (1981)

자크 지마코(Jacques Zimako) (1995)

미셸 클라르크(Michel Clarque) (2002)

세르주 마르티넨고 드 노박(Serge Martinengo de Novack) (2002–2004)

디디에 샹바롱(Didier Chambaron) (2007–2010)

크리스토프 쿠르시몰(Christophe Coursimault) (2010–2012)

알랭 모이잔(Alain Moizan) (2012–2015)

티에리 사르도(Thierry Sardo) (2015–2021)

도미니크 와칼리(Dominique Wacalie) (2021–2022)

요한 시다네르(Johann Sidaner) (2022–)

5. 뉴칼레도니아-타히티 라이벌 관계

프랑스령 태평양의 해외 영토인 뉴칼레도니아타히티 간에는 오랜 스포츠 라이벌 관계가 존재한다.[3] 두 팀은 정기적으로 지역 대회와 2006년부터는 국제 대회에서 경쟁하고 있다.[3] 2012년 기준으로 타히티는 (OFC 네이션스컵 우승 1회, 남태평양 경기 대회 금메달 5개, 남태평양 미니 게임 금메달 2개) 뉴칼레도니아(남태평양 경기 대회 금메달 6개)보다 많은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3] 2018년 마지막 경기까지 1953년 이후 62경기에서 뉴칼레도니아는 28승, 타히티는 25승, 9무를 기록했다.[3]

6. 유니폼

2022년부터 현재까지 지보바(Givova)가 누벨칼레도니 축구 국가대표팀의 용품 공급업체이다.[8][9][10][11][12] 2012년 기준으로, 홈 유니폼은 회색 상의에 빨간색 바지와 양말이며, 원정 유니폼은 빨간색 상의에 빨간색 바지와 흰색 양말이다.

용품 공급업체기간
푸마2004–2006[4]
나이키2010–2012
에레아(Erreà)2013–2017
카파2017–2019
셀렉트2020–2021
지보바(Givova)2022–


7.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



다음은 지난 12개월 동안의 경기 결과와 향후 예정된 경기 목록이다.

colspan="7" |
날짜대회상대경기장결과비고
2023년 11월 28일2023 태평양 게임 준결승로손 타마 스타디움, 호니아라, 솔로몬 제도1–0 승크소위
2023년 12월 2일2023 태평양 게임 결승전국립 경기장, 호니아라, 솔로몬 제도2–2 (7-6 )와야 , 웰레파네
2024년 6월 15일2024 OFC 네이션스컵프레시워터 스타디움, 포트빌라, 바누아투취소2024년 6월 5일, 뉴칼레도니아는 자국 내 심각한 위기로 인해 기권[5]
2024년 6월 18일2024 OFC 네이션스컵프레시워터 스타디움, 포트빌라, 바누아투취소2024년 6월 5일, 뉴칼레도니아는 자국 내 심각한 위기로 인해 기권[5]
2024년 6월 21일2024 OFC 네이션스컵프레시워터 스타디움, 포트빌라, 바누아투취소2024년 6월 5일, 뉴칼레도니아는 자국 내 심각한 위기로 인해 기권[5]
2023년 10월 10일2026 FIFA 월드컵 예선HFC 뱅크 스타디움, 수바, 피지3-1 승아탈레 , 고프-페네페주 , 아에웨게네
2023년 11월 14일2026 FIFA 월드컵 예선PNG 축구 스타디움, 포트모르즈비, 파푸아뉴기니3-2 승아탈레 , 와이아
2023년 11월 17일2026 FIFA 월드컵 예선PNG 축구 스타디움, 포트모르즈비, 파푸아뉴기니1-1 무
2024년 12월 9일2024 MSG 총리컵로손 타마 스타디움, 호니아라, 솔로몬 제도취소뉴칼레도니아는 조 추첨 직후 토너먼트에서 기권
2024년 12월 12일2024 MSG 총리컵로손 타마 스타디움, 호니아라, 솔로몬 제도취소뉴칼레도니아는 조 추첨 직후 토너먼트에서 기권
2025년 3월 21일2026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스카이 스타디움, 웰링턴, 뉴질랜드


참조

[1] 웹사이트 FIFA/Coca-Cola World Ranking September 2008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A Little History https://www.fedcalfo[...] 2022-02-01
[3] 웹사이트 New Caledonia https://www.football[...] 2022-02-01
[4] 웹사이트 New Caledonia camisa de futebol 2004 – 2006 https://www.oldfootb[...] 2012-05-08
[5] 뉴스 La Fédération se résout à la "NON-PARTICIPATION" des cagous https://www.wmaker.n[...] New Caledonian Football Federation 2024-06-05
[6] 웹사이트 Here’s the squad for New Caledonia 🇳🇨 https://x.com/window[...] FCF Foot
[7] 웹사이트 New Caledonia https://www.national[...] 2021-05-03
[8] 웹사이트 FOOTBALL IN NEW CALEDONIA https://anotandofutb[...] 2023
[9] 웹사이트 2003 https://crankshaw-sp[...]
[10] 웹사이트 2004 https://www.youtube.[...] 2020-08-16
[11] 웹사이트 2011 https://www.football[...]
[12] 웹사이트 2022 https://www.youtube.[...] 2022-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